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[파이썬] 연산자의 기초 이해, 비교·논리 연산자, 기타 연산자 활용

by 개발자를 꿈꾸는 사람들과 함꼐 2025. 4. 1.

파이썬 연산자의 기초 이해하기

프로그래밍에서 연산자는 데이터를 계산하거나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 기호 또는 키워드입니다. 연산자는 프로그램의 뼈대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. 파이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연산자를 제공하며, 이들을 적절히 활용하면 더 복잡하고 유용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. 파이썬에서 연산자는 단순한 계산 도구를 넘어서,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다루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. 산술 연산자로 숫자를 계산하고, 비교 및 논리 연산자로 조건을 판단하며, 대입 연산자로 값을 저장하고, 멤버나 식별 연산자로 더 정교한 로직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. 초보자라면 연산자의 종류를 외우는 것보다 다양한 예제를 통해 직접 써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 연산자를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프로그램의 동작 방식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. 가장 기본적인 연산자는 산술 연산자입니다.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하는 산술 연산자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+  : 덧셈
-  : 뺄셈
*  : 곱셈
/  : 나눗셈
%  : 나머지
** : 거듭제곱
// : 몫 (정수 나눗셈)

예를 들어 간단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.

 

<Example>
a = 10
b = 3

print(a + b)   # 13
print(a - b)   # 7
print(a * b)   # 30
print(a / b)   # 3.333...
print(a % b)   # 1
print(a ** b)  # 1000
print(a // b)  # 3

파이썬은 수학적 연산을 매우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특히 나머지 연산자 %나 거듭제곱 연산자 **는 수학 문제를 해결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 또한 변수 간 계산도 자유롭게 가능하며, 여러 연산자를 조합하여 더 복잡한 수식을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. 이때 수학과 마찬가지로 연산자의 우선순위(곱셈과 나눗셈이 덧셈과 뺄셈보다 우선)가 존재하므로 괄호를 이용해 명확하게 연산 순서를 표현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.

비교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

비교 연산자는 두 값을 비교하여 참(True) 또는 거짓(False)을 반환하는 데 사용됩니다. 이는 조건문(if문 등)과 함께 자주 사용되며,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파이썬의 주요 비교 연산자는 다음과 같습니다:

==  : 같다
!=  : 같지 않다
>   : 크다
<   : 작다
>=  : 크거나 같다
<=  : 작거나 같다

다음은 비교 연산자의 간단한 예입니다.


<Example>
a = 5
b = 10

print(a == b)   # False
print(a != b)   # True
print(a > b)    # False
print(a <= b)   # True

비교 연산자의 결과는 항상 불리언(boolean) 값인 True 또는 False입니다. 이 값은 이후 조건문이나 반복문에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. 논리 연산자는 두 개 이상의 조건을 결합하거나 조건을 반전시키는 데 사용됩니다. 파이썬에서 지원하는 논리 연산자는 다음과 같습니다:

and  : 두 조건이 모두 참이면 참
or   : 두 조건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
not  : 조건을 반대로 만듦

다음은 논리 연산자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.

 

<Example>

x = 7
y = 12

print(x > 5 and y < 15)  # True
print(x < 5 or y > 10)   # True
print(not(x < 10))       # False

이러한 논리 연산자들은 조건을 조합하여 복잡한 조건을 구성하는 데 유용합니다. 특히 여러 조건이 동시에 충족되었을 때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, 특정 조건을 제외하고 실행하고자 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.

대입, 복합 대입, 기타 연산자의 활용

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가장 기본적인 연산자는 대입 연산자 =입니다. 예를 들어 x = 5는 변수 x에 숫자 5를 저장하는 의미입니다. 하지만 파이썬은 여기에 더해 다양한 복합 대입 연산자를 제공합니다. 이는 기존 변수의 값에 연산을 적용한 후 다시 변수에 저장할 때 사용됩니다. 복합 대입 연산자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<Example>

x = 10
x += 5  # x = x + 5 와 같음 -> 결과: 15
x -= 3  # x = x - 3 -> 결과: 12
x *= 2  # x = x * 2 -> 결과: 24
x /= 4  # x = x / 4 -> 결과: 6.0

복합 대입 연산자를 활용하면 코드가 더 간결해지고 가독성이 높아집니다. 특히 반복문이나 누적 계산을 수행할 때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. 그 외에도 파이썬은 다양한 특수 연산자를 제공합니다. 대표적으로 멤버 연산자와 식별 연산자가 있습니다.


• 멤버 연산자 (in, not in): 특정 값이 리스트, 문자열, 튜플 등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
fruits = ["apple", "banana", "cherry"]
print("banana" in fruits)     # True
print("grape" not in fruits)  # True

• 식별 연산자 (is, is not): 두 변수가 같은 객체를 가리키는지를 확인합니다.

a = [1, 2, 3]
b = a
c = [1, 2, 3]

print(a is b)     # True (같은 객체)
print(a is c)     # False (값은 같지만 다른 객체)

파이썬에서 객체의 비교는 값의 비교(==)와 참조의 비교(is)로 나뉘기 때문에, 이 둘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