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코딩23

[파이썬 심화] 웹 크롤링, BeautifulSoup & Requests 활용, 실무 응용 웹 크롤링의 기본 개념과 원리웹 크롤링(Web Crawling)은 인터넷 상의 웹 페이지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기술입니다.사람이 직접 마우스로 정보를 복사하지 않고, 프로그램이 페이지를 요청하고 필요한 정보만 추출하는 방식입니다.대표적인 웹 크롤링 활용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:뉴스 기사나 블로그 제목 수집쇼핑몰에서 상품명, 가격 정보 추출댓글, 리뷰, 공공데이터 자동 수집파이썬에서는 requests 모듈로 웹 페이지의 HTML을 가져오고, BeautifulSoup 모듈로 HTML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해서 추출할 수 있습니다.필수 모듈 설치pip install requestspip install beautifulsoup4설치 후, 다음 단계부터 본격적인 웹 크롤링 예제를 실습해 보겠습니다.. 2025. 4. 5.
[파이썬 심화] 객체지향 프로그래밍, 클래스와 객체 사용법, 객체지향 활용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?프로그래밍을 배우다 보면 '객체지향(Object-Oriented Programming, OOP)'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.  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현실 세계를 코드로 모델링하기 위한 개념으로, 사물(객체)의 특징(속성)과 행동(메서드)을 코드로 정의하는 방식입니다. 예를 들어, “자동차”라는 개념을 생각해보겠습니다.  속성: 색상, 브랜드, 속도  행동: 가속하다, 감속하다, 정지하다이러한 정보를 하나의 클래스(class)로 정의하고, 실제 동작하는 자동차를 객체(object)로 만들어 사용하는 방식이 객체지향입니다. 파이썬은 객체지향 언어로, 클래스와 객체를 쉽게 만들고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 그럼 이제 클래스와 객체를 파이썬 코드로 어떻게 작성하는지 알아.. 2025. 4. 5.
[파이썬] 반복문의 의미, 실용 예제, 조건문과의 결합 반복문이란 무엇인가?프로그래밍에서 반복문은 특정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해서 수행할 때 사용하는 구조입니다. 같은 코드를 여러 번 작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효율적이고,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. 파이썬에서는 대표적으로 for문과 while문이라는 두 가지 반복문을 제공합니다.먼저 for문은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할 때 사용합니다. 예를 들어, 1부터 5까지 숫자를 출력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 for i in range(1, 6):    print(i)이 코드는 1부터 5까지의 숫자를 하나씩 출력합니다. range(1, 6)은 1 이상 6 미만의 범위를 의미하며, i는 반복마다 그 값을 순차적으로 갖습니다. while문은 조건이 참일 때 계속 반복합니다... 2025. 4. 1.
[파이썬] 계산기 만들기 준비, 코드구현, 기능확장 나만의 계산기를 만들기 위한 준비 단계파이썬으로 첫 번째 간단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기 좋은 주제가 바로 계산기 만들기입니다. 계산기는 일상 속에서 친숙한 도구이기 때문에, 초보자도 동작 방식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고, 간단한 프로그래밍 개념을 적용해보기 좋은 예제입니다. 먼저 계산기의 기본 기능을 정의해 보겠습니다. 우리가 만들 계산기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기능을 포함합니다:• 덧셈• 뺄셈• 곱셈• 나눗셈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준비물은 파이썬이 설치된 환경입니다. 개발 도구로는 간단한 텍스트 에디터(IDLE, VSCode 등)를 사용하거나, Jupyter Notebook을 이용해도 좋습니다. 이 프로젝트는 콘솔(터미널)에서 실행되는 텍스트 기반 계산기로 시작합니다.파이썬 코드로 계산기 기능.. 2025. 4. 1.
[파이썬] 변수의 정의, 데이터 타입, 입·출력 예제 변수의 정의(뜻과 규칙)프로그래밍에서 “변수”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파이썬에서도 마찬가지로 변수는 숫자, 문자, 리스트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이름 붙은 상자입니다. 초보자들은 종종 변수라는 개념을 어렵게 느끼지만, 일상적인 예시를 떠올리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수학에서 x = 3이라고 할 때 x는 변수이며, 그 안에 숫자 3이 저장되어 있는 것입니다. 파이썬에서도 다음과 같이 변수에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:  x = 3  y = "안녕하세요"  z = [1, 2, 3, 4]위 코드에서 x는 정수, y는 문자열, z는 리스트입니다.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는 = 기호를 사용하며, 이는 “할당”을 의미합니다. 수학에서의 등호(=)는 좌우가 같다는 의.. 2025. 4. 1.